티스토리 뷰
어디를 가도 스마트폰을 보고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컴퓨터 및 스마트폰을 보는 시간이 많아지다보니 눈의 뻑뻑함, 눈의피로, 충혈 등 안구건조증 증상을 호소하는 분들도 증가하고 있는데요.
증상이 가벼워 시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단, 심해지면 각막에 염증을 일으켜 시력장애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1. 안구건조증 원인
어떤 원인에 의해 눈물샘이 위축되거나 지방층을 만드는 샘에 이상이 생겨 눈물을 공급하는 통로가 막힐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눈물의 분비량 자체가 적어지면 발생합니다.
장시간의 독서,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 등으로 눈 깜박임이 줄거나 주위의 건조한 환경으로 눈물의 증발이 많을때 발생할 수 있는데요. 라식 및 라섹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안구건조증 증상
눈이 침침하거나 자극감, 이물감, 작열감 등을 느끼게 됩니다. 점액성 물질이 분비되는 경우도 있는데요. 가려움이나 눈부심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바람을 쐬거나 책을 보면 더욱 더 심해지는데요. 이런 경우 눈을 감고 있으면 편한 느낌이 듭니다.
3. 안구건조증 치료방법
① 인공눈물, 안연고 등
인공눈물이나 안연고 등의 약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인공눈물은 1일 4회 정도 점안하는데요.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자신의 눈에 맞는 인공눈물을 사용해야 합니다.
심한 경우 안연고도 사용할 수 있는데요. 안연고를 면봉에 묻혀 아래 눈꺼풀의 눈썹이 나오는 부분을 매일 아침 세수할때 20회 정도 문질러 마사지 합니다.
② 주변 환경 개선
집안의 습도를 높여 눈물의 증발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염색, 헤어드라이어, 스프레이 등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은데요.
독서, 스마트폰, 컴퓨터 등은 가급적 오래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오래하게 된다면 중간에 의식적으로 눈을 깜빡이거나 눈을 감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③ 수술
증상이 심하거나 인공눈물에 과민반응이 있을 경우 시행할 수 있습니다. 눈물이 배출되는 누점을 막아 효과를 볼 수도 있는데요. 결막이 너무 말라 안구가 잘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증상이 심하면 인공각막 수술을 하기도 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령임신? 노산 나이 기준은? (0) | 2015.12.16 |
---|---|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검출! 웨스트나일열 증상과 매개 모기는? (0) | 2015.11.13 |
영유아 표준키 및 유아 표준체중! 신생아 평균 키 및 몸무게 알아보자! (2) | 2015.07.23 |
더위먹은증상 및 일사병과 열사병의 차이 알아보자 (0) | 2015.07.02 |
폐암생존율? 폐암수술환자의 5년 생존률은 어떻게 될까? (0) | 2015.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