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조선을 건국한 제1대왕 태조 이성계!! 부인과 아들, 딸을 여럿 뒀는데요. 왕위 계승과정에서 문제가 좀(?) 있었죠. 야심가였던 신의왕후 한씨의 5번째 아들 이방원이 두번의 왕자의 난을 통해 왕위에 올랐는데요.
가지 많은 나무 바람 잘 날 없다는 속담 그대로 말년은 편치 않았습니다. 아들들이 서로 죽고 죽이는 모습을 보는 부모의 입장이 편할 수는 없을텐데요. 조선 태조 이성계 가계도를 간략히 알아봤습니다.
1. 조선 태조 이성계 가계도
증조부 익조 (행리) |
정숙왕후 |
| |||
조부 도조(춘) |
경순왕후 | ||||
부 환조(자춘) |
의혜왕후 | ||||
|
| ||||
태조 이성계 (1335 ~ 1408) |
신의왕후 한씨 |
진안대군 |
방우 |
| |
태조 이성계 재위기간 1392년 7월 ~ 1398년 9월
부인 : 6명 아들 : 8명 딸 : 5명 |
|
영안대군 |
방과 |
조선 2대왕 정종 | |
익안대군 |
방의 |
| |||
회안대군 |
방간 |
| |||
정안대군 |
방원 |
조선 3대왕 태종 | |||
덕안대군 |
방연 |
| |||
경신공주 |
|
| |||
경선공주 |
|
| |||
|
|
|
| ||
신덕왕후 강씨 |
무안대군 |
방번 |
| ||
|
의안대군 |
방석 |
| ||
경순공주 |
|
| |||
|
|
|
| ||
성비 원씨 |
|
|
| ||
|
|
|
| ||
정경궁주 유씨 |
|
|
| ||
|
|
|
| ||
화의 옹주 김씨 |
숙신옹주 |
|
| ||
|
|
|
| ||
이름 불명 |
의령옹주 |
|
|
2. 참고로!
이성계는 6명의 부인이 있었는데요. 신의왕후 한씨는 조선 건국 전 사망했고요. 신덕왕후 강씨가 조선의 중전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부인은 후궁입니다.
이방원의 1차 왕자의 난은 신덕왕후 강씨의 막내 아들인 의안대군 방석이 세자가 되면서 발생했는데요. 정도전, 남은 등의 후원을 받은 방석이 세자에 오르자 이방원이 이들 모두를 제거했고요.
이후 이성계의 둘째 아들 방과가 조선 2대왕(정종)에 올랐습니다. 정종 즉위 1년 뒤 회안대군 이방간이 자신이 왕위로 오르고자 이방원을 제거하려 했는데요.
우현보(아들 우홍부를 통해)의 밀고로 실패했고요. 이것을 2차 왕자의 난이라 부릅니다. 이후 정종은 이방원에게 왕위를 물려주고요. 이방원은 조선 제3대 왕으로 즉위하게 됩니다.
참고로 이성계의 첫째 아들 이방우는 아버지가 혁명에 뜻이 있음을 예전부터 잘 알고 해주에서 은거하다가 사망했습니다.
'역사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마지막 왕! 공양왕의 3년 재위 및 폐위와 죽음은? (0) | 2015.12.20 |
---|---|
영조 및 사도세자, 정조 가계도 - 부인 및 아들, 딸 알아보자 (6) | 2015.05.20 |
조선 선조 가계도 - 부인 8명, 아들 14명, 딸 11명 (0) | 2015.03.07 |
이순신 장군 해전 순서 및 3대 대첩 순서와 죽음, 전사한 해전 알아보자 (5) | 2015.03.01 |
조선 태종 이방원 가계도 - 아들 11명, 딸 17명, 부인 9명 (0) | 201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