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영조 및 사도세자!! 그리고 정조!! 조선의 부흥을 이끌었던 왕이기도 하고요. 아들을 죽인 아버지... 뒤주에 갇혀 죽은 아들... 그 아버지의 죽음을 목격한 아들 등 참 드라마틱했던 삶들을 살았습니다.
때문에 각종 드라마와 영화 등에서 주요 소재로 많이 등장하는데요. 영조 및 정조, 사도세자의 가계도를 간략히 알아봤습니다.
1. 영조 가계도 - 부인 6명, 아들 2명, 딸 7명
숙종 |
숙빈 최씨 |
| ||
|
| |||
영조 이금 (1694년~1776년) |
정성왕후 서씨 |
|
||
조선 제21대 왕 (재위기간 : 1724년~1776년) |
|
|
| |
정순왕후 김씨 |
|
| ||
|
|
| ||
정빈 이씨 |
효장세자 |
10살때 요절 | ||
|
화순옹주 |
| ||
|
|
| ||
영빈 이씨 |
장헌세자 |
사도세자 | ||
|
화평옹주 |
| ||
|
화협옹주 |
| ||
|
화완옹주 |
| ||
|
|
| ||
귀인 조씨 |
화유옹주 |
| ||
|
|
| ||
숙의 문씨(폐출) |
화령옹주 |
| ||
|
화길옹주 |
|
※ 영조 어진 출처 : 문화재청
2. 사도세자 가계도 - 부인 3명, 아들 5명, 딸 3명
영조 |
영빈 이씨 |
| ||
|
| |||
사도세자 이선 (1735년 ~ 1762년) |
혜빈 홍씨 |
의소세자 |
요절 | |
※ 영조가 자신의 행위를 뉘우치고 아들을 애타게 생각한다는 뜻으로 <사도(思悼)>라는 시호를 내렸음.
※ 정조가 왕위에 올라 장헌으로 추존하였고, 고종때에 장조로 추촌되었음. |
|
정조 |
조선 제22대 왕 | |
|
청연공주 |
| ||
|
청선공주 |
| ||
|
|
| ||
순빈 임씨 |
은언군 |
| ||
|
은신군 |
| ||
|
|
| ||
경빈 박시 |
은전군 |
| ||
|
청근옹주 |
|
※ 정조 어필(시국제입장제생) 출처 : 문화재청
3. 정조 가계도 - 부인 5명, 아들 2명, 딸 2명
사도세자 |
혜빈 홍씨 |
| ||
|
| |||
정조 이산 (1752년 ~ 1800년) |
효의왕후 김씨 |
|
| |
조선 제22대왕 (재위기간 : 1776년~1800년) |
|
|
| |
의빈 성씨 |
문효세자 |
요절 | ||
|
|
| ||
수빈 박씨 |
순조 |
조선 제23대 왕 | ||
|
숙선옹주 |
| ||
|
|
| ||
원빈 홍씨 |
|
| ||
|
|
| ||
화빈 윤씨 |
이름 불명 (여) |
|
세자의 지위에 있다가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죽은 세자는 추후 시호를 받아 '~세자'라는 호칭으로 불리고요. 왕이 된 경우는 왕의 시호를 받기때문에 세자 시호는 없습니다.
정조는 사도세자인 아버지 사후 효장세자의 양자로 입적되어 세손의 지위를 그대로 이었고요. 할아버지인 영조 사후 왕위를 물려받았습니다.
'역사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방원 하여가 및 정몽주 단심가! 선죽교는 어디? (0) | 2015.12.26 |
---|---|
고려 마지막 왕! 공양왕의 3년 재위 및 폐위와 죽음은? (0) | 2015.12.20 |
조선 선조 가계도 - 부인 8명, 아들 14명, 딸 11명 (0) | 2015.03.07 |
이순신 장군 해전 순서 및 3대 대첩 순서와 죽음, 전사한 해전 알아보자 (5) | 2015.03.01 |
조선 태종 이방원 가계도 - 아들 11명, 딸 17명, 부인 9명 (0) | 2015.02.26 |